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본어공부178

[일본어N4문법] ~なさい/なされ 안녕하세요. 에나예요. 오늘은 N4문법이에요. 설명 ■ 접속 동사ます형 + なさい 동사ます형 + なされ ■ 의미 ~해 ~하시오 ■ 해설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대한 명령, 지시를 나타냅니다. 「ごめんなさい」「おやすみなさい」는 현대에서는 명령의 의미는 없어지고, 인사로 쓰이고 있습니다. 「~なされ」는「する」의 존댓말「なさる」의 명령어입니다. 비교적 친밀한 사이에서 사용되는 명령 표현입니다. 명령 표현이라고는 해도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달래듯이 사용하는 표현이기 때문에 어감은 부드러운 편입니다. 젊은 사람들은 보통 사용하지 않는 표현입니다만, 현대에는 어르신들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 예문 1. 自分で片づけなさい。 (스스로 정리해.) 2. 身の程を知りなさい。 (분수를 알아라.) 3. 4つの選択肢から、正しいものを.. 2024. 2. 22.
[일본어N2문법] ~として/としての/としても 안녕하세요. 에나예요. 오늘은 N2문법이에요. 설명 ■ 접속 명사 + として 명사 + としての + 명사 명사 + としても/といたしましても 명사 + として/といたしまして ■ 의미 ~로서 ~의 자격으로 ~의 입장에서 ■ 해설 신분이나 입장, 자격, 종류를 나타냅니다. 「~といたしまして」「~といたしましても」는 겸양어입니다. ■ 예문 1. このミスコンでは女性としての容姿の美しさを競うのではなく、内面の美しさが評価対象となっている。 (이 미스 콘테스트에서는 여성으로서 용모의 아름다움을 겨루는 것이 아니라, 내면의 아름다움이 평가 대상이다.) 2. プレゼントされたものを売り払うなんて人としてどうかしてる。 (선물 받은 것을 돼팔다니 사람으로서 어떤가 싶다.) 3. 彼の多趣味で、その1つとして釣りがある。 (그의 많은 취미중, 그 .. 2024. 2. 20.
[일본어N2문법] ~というより/というよりむしろ 안녕하세요. 에나예요. 오늘은 N2문법이에요. 설명 ■ 접속 명사 + というよりむしろ~ 동사 보통형 + というよりむしろ~ い형용사 보통형 + というよりむしろ~ な형용사 + (だ/である)というよりむしろ ■ 의미 ~라기보다는 (오히려) ■ 해설 두가지 판단이나 견해를 비교해서 후건 쪽이 비교적 타당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むしろ」는 생략가능합니다만, 「むしろ」가 붙으면 더 강조된 표현이 됩니다. 「というより」「というよりは」「というよりか」「というよりも」「というよりかは」등과 다양한 표현이 있지만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 예문 1. 声が聞こえないのはマイクが壊れているというより、パソコンの設定の方の問題だと思う。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은 마이크가 고장 난 것이라기보다, 컴퓨터 설정 쪽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2... 2024. 2. 20.
[일본어N3문법] あまり~ない/あんまり~ない 안녕하세요. 에나예요. 오늘은 N3문법이에요. 설명 ■ 접속 あまり/あんまり + な형용사 + ではない あまり/あんまり + い형용사어간 + くない あまり + 동사 ない ■ 의미 그다지 ~하지 않다 별로 ~하지 않다 ■ 해설 형용사에 접속 할 때는 그 정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을, 동사에 접속할 때는 그 동작의 빈도가 그다지 많지 않은 것을 나타냅니다. 「あんまり」는 구어체에 있어서 강조입니다. 후건에는 반드시 부정형이 호응합니다. ■ 예문 1. 最近の曲は正直あまりすきじゃない。 (요즘 노래(곡)은 솔직히 별로 안 좋아해.) 2. スマホゲームはあまり遊んだことがない。 (스마트폰 게임은 별로 놀아 본 적이 없다.) 3. 下品な言葉は私はあまり使わないようにしている。 (상스러운 말은 난 잘 쓰지 않으려고 하고 있다... 2024. 2. 20.
[일본어N3문법] ~ばよかった/なければよかった 안녕하세요. 에나예요. 오늘은 N3문법이에요. 설명 ■ 접속 동사 ば형 + よかった 동사 ない형+ なければよかった ■ 의미 ~할 걸 그랬다 ~(으)면 좋았다 ~하지 않을 걸 그랬다 ■ 해설 과가의 행동에 대해, 그렇게 했어야 했다고 후회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상대의 행위에 대해 사용할 때는 그것을 비난하는 마음이 표현됩니다. 「~ばよかったのに」의 형태로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이「のに」는 영접을 나타내는데, 후건에는 전건과는 반대되는 내용이 나옵니다. 「のに」를 종조사적으로 사용해서 후건을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 예문 1. 高校生の頃に一目ぼれした彼に告ればよかったと思う。ずっと忘れられないでいる。 (고등학생 때 첫눈에 반한 그에게 고백할 걸 그랬다. 계속 잊지 못하고 있다.) 2. 傘忘れた。天気予報見てお.. 2024. 2. 19.
[일본어N2문법] ~ところだった 안녕하세요. 에나예요. 오늘은 N2문법이에요. 설명 ■ 접속 동사 사전형 + ところだった 동사 た형+ ところだった ■ 의미 ~할 뻔했다 ■ 해설 조건이 다르면 발생했을 사태를 발생하기 전에 회피할 수 있었음을 나타냅니다. 「もう少しで」이나「危うく(あやうく)」등과 호응합니다. ■ 예문 1. 教えてくれなかったらまた忘れるところこだった。 (가르쳐 주지 않았다면 또 잊어버릴 뻔했다.) 2. もう少しブレーキを踏むのが遅れていたら死んでいたところだった。 (조금 브레이크를 밟는 것이 늦었더라면 죽었을 뻔했다.) 3. 対処が遅れていたら、あやうくまた犠牲者が出るところだった。 (대응이 늦었더라면, 하마터면 또 희생자가 나올 뻔했다.) 4. 目覚まし設定し忘れて、あやうく寝過ごすところだった。 (알람 설정하는 것을 잊어버려서, 하마터면.. 2024. 2. 18.
[일본어N4문법] ~くらい/ぐらい 안녕하세요. 에나입니다. 오늘은 N4 문법입니다. 1. 양 그것에 가까움 2. 정도 3. 한정, 최저한 4. 멸시, 경멸, 경시 1. 양이 그것에 가까움 설명 ■ 접속 수량 + くらい/ぐらい (명사 + くらい/ぐらい) 同じくらい/同じぐらい ■ 의미 ~정도 ■ 해설 많음, 크기, 시간, 범위등이 대체로 그 수치에 가까운 것, 혹은 거의 같은 것을 나타냅니다. 「約~」「大体~」와 같은 의미입니다. 예문 2 「息子ぐらい」는「息子と同じ年齢ぐらい」가 생략된 표현입니다. 「ほど」로 바꾸어 말할 수 있습니다. 「ほど」를 사용하면 조금 딱딱한 표현이 됩니다. ※「ほど」로 바꿀 수 없는 예문을 발견했습니다! 왜 바꿀 수 없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 수 없었습니다. 〇私は30歳ぐらいから運動を始めました。 ✕私は30歳ほどから.. 2024. 2. 17.
[일본어N3문법] ~(よ)うとする/(よ)うとした/(と)うとしている 안녕하세요. 에나예요. 오늘은 N3문법이에요. 설명 ■ 접속 동사 의지형 + とする 동사 의지형 + とした 동사 의지형 + としている ■ 의미 ~하려고 하다 ~하려고 했다 ~하려고 하고 있다 ■ 해설 의지동사의 의향형에 접속하면, 어떤 동작을 하려고 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ようとする時」 「~ようとした時」 「~ようとすところ」 「~ようとしたところ」는 그 동작의 직접을 나타냅니다. 무의지동사에 접속하면, 그 동작이 나타내는 동작이 곧 시작, 혹은 종료하는 것을 나타냅니다.이 경우, 반드시 ている형 「~ようとしている」를 사용합니다. (예 : 降ろうとしている) ■ 예문 〇 의지동사의 예 (何かをしようとする) 1. 二度寝しようとしたけど寝れなかった。 (자다깨서 다시 자려고 했는데 못 잤다.) 2. 思い出そうとして.. 2024. 2. 16.
[일본어N4문법] ~てもらう/て頂く(いただく) 안녕하세요. 에나예요. 오늘은 N4문법이에요. 설명 ■ 접속 [주어(받는 사람)]は [주는 사람]に + [물건]を + 동사て형 + もらう [주어(받는 사람)]は [주는 사람]から + [물건]を + 동사て형 + もらう ■ 의미 ~해 받다 ~해 주시다 ■ 해설 「~てもらう/て頂く」는 外에서 内로 행위가 향하는 것을 말합니다. 「て頂く」는 윗사람에게 아랫사람으로 행위가 향하는 것을 나타내는 겸양어 입니다. 자신 이외의 인물간 (外에서外)의 사물의 이동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もらう」의 시점은 주어(받는 사람)입니다. 주는 사람의 시점에서 말하는 경우는 「あげる/くれる」를 사용합니다. 수동동사 内外관계 주어 私は彼に~てあげる 内→外 원심적 주어가 주는 사람 彼は私に~てくれる 外→内 구심적 私は彼に~てもらう .. 2024. 2. 16.
반응형